-
워드프레스 사이트 RSS주소 간단히 찾아 피들리(Feedly)에 등록하기워드프레스 2018. 11. 1. 02:3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사이트 RSS주소 간단히 찾아 피들리(Feedly)에 등록하기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만들다가 RSS주소가 필요해 넣으려니 자주 사용하지 않아서 갑자기 바보가 된 느낌이다. 해서 어쩔 수 없이 검색을 해서 찾은 다음 다음에 또 검색하지 않고 빨리 보려고 스크랩을 했다.사용 중인 워드프레스사이트 RSS 주소를 파악하는 간단한 방법1. 사이트 주소 뒤에 /RSS를 추가한 후 엔터키를 친다. RSS 피드 URL로 자동 이동하면서 RSS가 표시됩니다. 예를 들면 브라우저 주소에 https://swcnews.or.k/rss를입력하고 Enter를 치면 https://swcnews.or.kr/feed/주소로 텍스트로 된 내용이 나타납니다.2. 표준은 아래와 같이 4 종류 중 한 가지를 사용합니다.http://example.com/?feed=rsshttp://example.com/?feed=rss2http://example.com/?feed=rdfhttp://example.com/?feed=atom3. 사용자 정의 고유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다음 중 한 가지를 사용합니다.http://example.com/feed/
http://example.com/feed/rss/
http://example.com/feed/rss2/
http://example.com/feed/rdf/
http://example.com/feed/atom/
4. 카테고리를 RSS로 제공할 때는 가장 흔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합니다.
http://example.com/category/categoryname/feed
확인하는 방법은 rss리더기를 설치한 후 확인해야 합니다.
간단히 제 경우는 크롬브라우저에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테스트합니다.
설치할 feedly는 로그인을 해서 사용하는데 번거롭게 회원가입을 하지 않고 구글, 페이스북에 가입이 되어있으면 그 아이콘을 누르면 끝입니다.
제 경우에는 항상 크롬에 구글 메일로 로그인 하기 때문에 구글 로고를 눌러 피들리를 사용합니다.
무료이지만 제한도 있습니다. 100개의 사이트까지만 등록이 무료입니다. 하지만 제 경우 100개도 많기 때문에 그냥 무료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1. 구글 웹 스토어에서 다음 확장 프로그램을 찾아 선택합니다. 설치 후 '평가하기' 버튼이 되지만 설치 전에는 '크롬에 추가' 버튼 이름이 됩니다.
링크는 https://chrome.google.com/webstore/search/feedly?hl=ko 입니다.
2. 설치가 되면 빨간색 네모와 같이 아이콘 나타납니다
3. 제목은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전제 했지만 어떤 사이트라도 대부분 제공을 하는 것이 원칙이며 기본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전 연습을 하기 위해 한겨레 신문을 방문합니다.
그러면 오른쪽 아래에 흐린 회색으로 아이콘이 나타납니다. 아이콘을 누릅니다.
4. 메뉴가 나타납니다. 그런데 그림으로 되어있어 눈치채기 쉽습니다. 여기서 + 표시는 신문구독을 추가하는 것이고 나머지는 공유하는 것 아시죠?
5. 다음과 같이 화면이 나타나면 Follow버튼을 눌러 주세요.
6. 새로운 창이 뜨면 아래쪽에서 New Feed를 클릭합니다.
7. 선택할 수 있는 제목이 나타납니다. 신문 이름을 선택합니다.
8. 아래와 같이 선택된 이름이 나타납니다. 아래 Create버튼을 누르면 등록됩니다.
9. 제가 사용하고 있는 사이트 아래쪽에 등록이 되었습니다. 이제부터 등록된 제목을 누르면 뉴스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RSS 수동으로 확실하게 등록하기
피들리 마크가 나타나지 않는 사이트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RSS라는 기능을 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어야 합니다. 대부분 신문사, 국내외 블로그, 공공기관 등을 이런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왜냐? 당연한 것이기 때문이죠.
1. 먼저 웹사이트에 돌아다니다. 이거 먹을 거리다 싶으면 브라우저 주소창을 복사합니다.
2. 피들리 아이콘을 눌러 아래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3. 왼쪽 아래 + 콘텐츠 추가를 누릅니다.
4. 오른쪽 입력란에 복사한 주소를 붙여넣기 합니다.
그러면 아래쪽에 내용이 나옵니다. 사이트 이름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해당 이름이 목록에 등록됩니다. 다음부터는 '학생미디어센터'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모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사이트가 RSS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몇 가지 방법
첫 번째는 사이트에 rss마크를 제공하는지 살펴봅니다. 오른쪽 끝이 바로 rss마크입니다.
두 번째는 rss가 지원하는지를 확인하는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입니다. 좀 번거롭지만 링크 사이트에서 설치하면 됩니다.
설치되면 아이콘이 아래처럼 나타납니다. 사이트를 방문하면 아이콘 색이 변하는데 회색은 지원하지 않는 사이트 이고 오랜지 색으로 변하면 지원하는 사이트입니다. 다른 기능은 쓸모가 없으니 사용법 알려고 시간 낭비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세 번째는 구글에서 검색을 해보면 됩니다. 예를 들면 '한겨레 RSS', '조선일보 RSS'와 같이 찾으면 섹션별로 rss제공 목록을 제공합니다.
'워드프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검색엔진에 워드프레스 노출 시키기 (1) (0) 2018.11.06 워드프레스 사용자 정의 CSS 추가 메뉴에 구글폰트 적용하기 (0) 2018.11.01 워드프레스 속도가 느릴 때 점검하는 플러그인과 hwp파일 업로드 방법 (0) 2018.03.20 SEO 대응 워드 프레스 테마? 어떤 테마가 SEO 친화적인가? (0) 2018.01.06 워드프레스 테마에 따라 방문자수가 달라진다? (0) 2018.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