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음악을 집안PC에 보관하고 스마트폰에서 즐기는 방법IT따라잡기 2015. 1. 12. 00:29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PC를 미디어서버로 사용해서 안드로이드 폰에서 본다.
pc를 안드로이드 휴대폰 서버로 사용하려면 몇 가지 방법이 있다. VLC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과 Qloud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 또는 Plex라는 것도 있다. 그러나 이런 것들을 다 사용해보고 경험을 해 본다는 것은 시간적으로 압박이 온다. 해서 검색을 해보니 아래와 같은 경험담이 있었다.
출처: 진랑님, 2011-12-21 http://clien.career.co.kr/cs2/bbs/board.php?bo_table=use&wr_id=342402
저는 Plex Media Server와 Qloud Server를 설치해서 Plex와 Qloud 안드로이드 어플을 사용 중입니다.
Plex Media나 Qloud 모두 설치와 세팅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는데 Plex Media 안드로이드 어플은 좀 불안정한 감이 있습니다. 접속 가능한 서버를 자동으로 불러와 준다는 장점은 있는데 또 자동으로 지워버리기도 합니다. 제가 잘 사용을 못하는 걸 수도 있지만 DDNS로 접속도 안되구요. ㅡㅡ;; 그래도 UI도 괜찮고 다른 기능도 지원해서 괜찮은 것 같습니다.
Qloud는 대부분 동영상 스트리밍용으로 사용하시는 것 같은데 세팅할 때 폴더를 사진과 음악으로 설정해주면 사진과 음악도 스트리밍이 가능합니다. 안정성이 높으나 UI는 좀 이쁘게 바꿔주었으면 합니다. 또한 음악은 폴더 정렬밖에 지원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2012년 9월로 현재 글이 올라온 날로부터 10개월 정도 지났음으로 스마트폰의 속성상 스피드가 생명임으로 기능이 개선되었다고 보고 Qloud서버를 설치해 보았다.
Qloud 서버
○ 설치환경 : 듀얼코어, windows XP SP3, 2MB RAM, IPTIME G504공유기,
○ 서버 프로그램 링크 : http://app.qiss.mobi/?p=121
○ 다운받은 프로그램 : 15.6MB
설치방법
1. 내려 받은 프로그램은 압축을 풀고 더블클릭한다.
2.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설치 폴더를 설정하는 화면이 나타난다.
3. 수동으로 서버를 시작하는 옵션을 설치했다. 부팅할 때 자동으로 서버를 실행하게 하려면 첫 번째 것을 선택한다,
4. 설치가 진행된다. 설치가 종료되면 finish 버튼을 누른다.
5. 자동으로 서버가 실행되면서 아래와 같이 내용이 채워져서 나타났다. (포스팅이 끝난 후에는 실험용 PC에 모든 프로그램이 삭제되었음으로 아래의 사용자와 IP 등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어서 보안경고 창이 떴다. 여기서 주의~ 3개의 버튼 중에서 가운데 “차단 해제”를 선택해야 방화벽을 통과해 외부에서 연결할 수 있다. (방화벽 : 인터넷망을 통해 PC의 내부로 접속을 하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 이것을 통과하면 보안에 구멍이 뚫려 해킹과 같은 사고가 난다.)
6. 이제부터 서버의 환경을 설정한다.
7. 추가하기 버튼을 눌러 음악, 비디오, 사진이 있는 폴더를 지정한다. 폴더는 사전에 만들었으며 영문으로 폴더 이름을 사용했다.
8. 사용자를 등록하면 등록된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다. 휴대폰에서도 이름과 비밀번호를 사용할 것임으로 기억하기 쉬운 이름과 비번을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여기에 기록하는 사용자와 비밀번호는 임의로 사용하면 된다.
테스트를 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파일을 준비했다.
사운드파일 : 일반적인 품질 수준의 파일
MP3 테스트 : 128Kbps, 44Khz, 16bit Stereo
OGG 테스트 : 128 Kbps, 44,100 Hz, Stereo.
WMA 테스트 : 128 Kbps, 44,100 Hz, Stereo. (Windows Media Audio 11)
비디오 : 해상도는 아래와 같이 720, 480을 사용하고 일반적이 유튜브 수준
mp4 720, Webm 480, flv 480
사진 :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jpg파일을 준비했다.
9. 설정이 끝나고 스마트폰에서 테스트를 했다. 물론 공유기는 설정하지 않았음으로 설치는 매우 간편했다. 스마트폰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하단 왼쪽의 + 표시를 눌러 4종류로 설정을 해보았다.
같은 공유기 영역에서 테스트 해보니 모두 작동되었다.
맨 위는 자동으로 인식을 한 것이고, 두 번째는 수동으로 PIN 번호를 입력한 경우, 세 번째는 외부 IP, 네 번째는 공유기가 할당한 PC의 IP를 입력했다. 실제 외부에서 사용한다면 자동설정이 되는 첫 번째 것을 사용하면 편리할 것이다.
10. 등록된 사용자 이름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테스트용으로 만든 폴더에 음악파일 2개, 사진파일2개, 비디오파일 3개가 보인다. 3종류의 음악 파일을 테스트 했는데 MP3가보이지 않아 서버의 MUSIC폴더를 보니 mp3파일이 실수로 엉뚱한 장소에 저장되어서 다시 이동을 하니 정상인식되고 실행되었다.
11. 비디오를 선택한 경우 화면이다.
12. 사진을 선택한 경우 화면이다.
14. 음악을 선택한 경우 화면이다.
마치면서...
무엇보다 설치를 하는 과정이 편리했다. 특별한 설정이 필요 없었다. 대부분 스트림 서버를 가정에서 이용하려면 공유기를 설정해야 하는데 이 과정이 처음해보는 사람을 무척이나 이해하기 어렵고 복잡한데 이런 복잡한 절차가 없다는 점이 장점이라고 하겠다. 사용방법도 어렵지 않아 설명서 없이 작동하는데 무리가 없었다. 이전 버전에서의 불만을 대폭 개선해서 반영한 탓이기도 하겠다.
여기에 사용된 영상은 크롬의 pig toolbox 확장툴을 설치하고 ‘유튜브’ 영상을 다운로드 했으며 툴 메뉴에서 파일형식을 선택한 것 이외에는 별도 동영상의 압축 형식을 변경하는 도구는 사용하지 않았다.
영화도 한편 테스트를 해보았다. MP4와 webM 2종류를 사용했는데 webM은 재생에 특별히 나타나는 것이 없고 대역폭만 나타났다. 파일의 크기는 MP4보다 약간 컷으며 화질 면에서는 약간 더 우수한 듯 보였으나 정확한 비교는 어려웠다. 크기는 640*352의 크기를 사용했다.
음악 파일은 윈도우XP에 기본 설치된 2가지를 변환했다. ‘사운드포지’에서 ogg, mp3, wmv11 3종류로 변환했으며 모두 동일하게 128Kbps, 44Khz, 16bit Stereo 음질을 적용했다. ♥
[출처] PC를 미디어서버로 사용해서 안드로이드 폰에서 보고 듣는다.|작성자 자연의삶
'IT따라잡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의 모든 로고를 일러스트 파일로 받아보자 (0) 2015.01.16 DID광고를 위한 세로방향 영상 편집(Edius 6.01 Vegas 10사용) (0) 2015.01.12 크롬 브라우저에서 pig toolbox 확장프로그램 설치하기 (0) 2015.01.09 티스토리 글을 쓰면 페이스북에 게시되게 해보자 (0) 2015.01.09 윈도우7 (Windows7) 탐색기에서 보내기 프로그램아이콘 추가하기 (0) 201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