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푸드
-
단호박 식혜 아주 간편하게 만드는 비법닥터푸드/건강식품가공법 2016. 9. 10. 12:32
단호박 식혜 아주 간편하게 만드는 비법 우리집에서 만드는 가장 간편한 단호박 식혜 만드는 비법을 공개 합니다. 핵심은 엿기름팩 입니다. 이 제품은 물에다 팩을 넣고 녹차 우려내는 방법입니다. 기존 엿기름 처럼 걸러내고 가라앉힌 후... 등등 복잡한 과정이 없어서 간편합니다. 따라서 해보시겠어요? 준비할 재료 : 1. 엿기름팩 500g 2. 생수 5리터 3. 쌀 2컵으로 지은 고슬 고슬 한 밥 4. 단호박 보통크기 1개를 껍질벗겨 찐 후 식혀놓은 것 5. 설탕 또는 감미료 재료 1. 시판용 엿기름 티백 240g(24g 티백 10개) 2 쌀2컵으로 고슬 고슬하게 지은 밥 3 생수 4리터 4 단호박 보통크기 껍질벗겨 찐것 5 설탕 또는 단맛나는 감미료 준비 만드는 법 1. 고슬고슬하게 지은 밥에 엿기름 티백 ..
-
세상에서 가장 쉬운 홍삼밥 만들기닥터푸드/건강식품가공법 2016. 9. 10. 11:01
연합뉴스. 김수진 기자가 쓴 2012년도 글에서 세상에서 가장 쉬운 홍삼밥 짓는 법을 발견했다. 충남도 농업기술원이 수삼과 홍삼액을 이용한 인삼밥 조리방법이다. (1) 수삼으로 홍삼효과 나는 인삼밥 만들기 수삼 30∼40g짜리 한뿌리를 믹서에 갈아 쌀에 인삼갈은 물을 첨가해 조리하면 된다.밥을 지면 밥이 찰지게 되고 조리시 가열온도 때문에 홍삼 특유의 사포닌 3∼4종이 생성되는 홍삼밥이 된다. (2) 홍삼액을 첨가해 인삼밥 만들기 홍삼액 100㎖(시중에서 유통되는 홍삼액 파우치 1봉)를 쌀에 물과함께 밥물을 맞추어 넣고 밥을 지으면 된다. 세상에서 가장 쉽게 가정에서 만드는 홍삼밥 효능은 어떨까? 인삼의 향과 쓴맛을 꺼리는 어린이도 쉽게 먹는다. 몸이 찬 사람이나 몸 보신에 인삼으로 만든 보약밥상을 올 ..
-
닭발요리 닭곰탕 민간요법 퇴행성 관절염 효과닥터푸드/치유음식만들기 2015. 2. 22. 17:18
닭곰탕 닭 연골은 과연 퇴행성 관절염에 효과가 있을까? 민간요법이라고 치부하고 무시했던 닭곰탕의 닭발 연골이 미국 하버드의대 임상결과 정말로 효과가 있다고 논문으로 학술지에 발표되었다. 우리나라는 이것을 우슬탕, 우슬계슬탕, 우계묵 등의 이름으로 불리면 민간에서 퇴행성 관절염에 사용하던 민간요법으로 잘 알려져있다. 미국은 이런 우리나라의 닭연골을 까지고 특허까지 내서 이제는 미국이 지적 소유권을 가진 나라가 되었다. 참으로 아이러니가 발생했다. 이제 우리나라의 식자층 의사들도 민간요법 무시하지 말고 미국 의대 의사들 처럼 과학적인 임상을 해서 우리나라가 소유권을 가지는 슬기로운 생각을 해야겠다. 의사가 민간요법을 신뢰하지 않는 이유는 분명하다. 병원에서 임상이 된것만 믿는 것이 확실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
관절염에 좋은 음식 우슬탕 만들기닥터푸드/치유음식만들기 2015. 2. 22. 14:54
여기저기 우슬탕에 대한 만드는 방법이 많이 나온다, 어떤 것이 딱히 좋다고 말 할 수 없다. 약 처럼 즉시 진통효과와 같은 것을 느낄 수 없게 때문이다. 그러나 관절염에 대체적인 의견은 천년초, 닭발, 수영뿌리, 보스웹리아, 홍합, 상어연골 등이 등장한다. 하지만 임상으로 밝혀져 이것이다 라고 하는 것은 뚜렸이 없다. 특히 건강관련식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콘드로이친이나 글루코사민은 임상적으로 효과가 없다고 한겨레 '명승권의 건강강좌'에서 근거를 밝히고 있다.[http://goo.gl/zkJie] 또한 약업신문 2010-09-20 기사를 보면 글루코사민‧콘드로이친, 무늬만 기능식품? 통증 완화‧관절 공간 폭 감소 등 차이 “별무” 주장을 보아도 알 수 있다. 기사게재 사이트는 http://www.yakup...
-
낙엽과 잡초로 메주 띄우기닥터푸드/치유음식만들기 2015. 2. 15. 23:42
낙엽과 잡초로 메주 띄우기 청국장 만드는 균은 고초균이라들 하죠? 고초라는 게 무슨 뜻일까요? 한자 사전을 찾아보니 고초란 말라죽은 풀 또는 나무라는 뜻이라고 나오는 군요. 지푸라기에만 고초균이 있는 것이 아니고 낙엽 갈대 등에도 있다는 것입니다. 고초균은 Bacillus subtilis라고 하는데요 한자로는 고초균(枯草菌), 또는 납두균(納頭菌)이라고 합니다. 네이버백과에 따르면 간균과(杆菌科)의 하나. 공기, 땅 따위에 있는 호기성(好氣性) 세균으로 자연계에 널리 퍼져 있으나 병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홀씨를 형성하여 저항력이 강하며, 글리코겐을 함유하고 탄수화물을 분해하여 산을 생산하는 것이 특징이다. 라고 하는군요 청국장을 만들때 또는 누룩을 뛰울때 이제부터 깨끗한 갈대나 낙엽을 초겨울에 채취하여 ..